AMICOGEN

언론보도

Press Release

최고의 기술과 경쟁력으로 글로벌 바이오 산업을 선도하는
아미코젠의 다양한 소식을 확인해 보세요.

번호 내용
119

아미코젠, 경남 진주시와 380억 투자협약…'엔돌라이신' 사업 본격화

아미코젠은 문산 제2공장에서 박종원 경상남도 경제부지사와 조규일 진주시장, 신용철 아미코젠 대표이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신소재 혁신기업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아미코젠은 문산읍 생물산업전문 농공단지 내 총 6398㎡의 부지에 의약용 미생물 단백질 CGMP 제조시설(문산제4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아미코젠은 약 380억원을 투자하고 약 160여명의 신규 인력을 채용할 예정이다. 경상남도와 진주시는 아미코젠의 투자와 채용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행정, 재정적인 지원을 할 방침이다. 아미코젠 문산제4공장은 2022년 초에 착공해 2023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MOU를 통해 건설될 엔돌라이신 제조시설은 아미코젠의 …

118

아미코젠, 라이산도 지분 8% 취득 완료

아미코젠이 지난 26일 리히텐슈타인 소재 라이산도의 지분 9만6831주 취득을 완료했다고 28일 밝혔다. 아미코젠에 따르면 이번 타법인 주식 취득 규모는 약 280억원으로, 라이산도 전체 주식수의 8.00%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분 취득 방식은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한 신주 발행 방식이다. 지난 15일 공시를 통해 밝힌 라이산도 사와의 '지분스왑' 첫 번째 단계를 마무리한 셈이다. 회사 측은 라이산도의 아미코젠 지분취득 단계로 약 220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진행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라이산도사는 아미코젠의 보통주 53만2198주를 취득하게 되며 이는 전체 주식수의 2.69%에 해당한다. 신주 발행가액은 지난 15일 발표한 공시를 통해 4만1850원으로 알려진 바 있…

117

신용철의 아미코젠, 타법인출자 2000억 육박

아미코젠의 타법인출자액이 2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자산 대비 절반 가까운 규모다. 올해 비피도 등 4곳 기업의 지분 취득을 결정하며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신용철 대표 주도의 오픈 이노베이션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아미코젠은 올해 들어 이달까지 타법인 주식 취득에 약 908억원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가장 규모가 컸던 투자는 비피도 경영권 인수가 손꼽힌다. 비피도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기능식품에 특화된 기업으로 아미코젠이 구주 30%를 601억원에 사들여 최대주주로 올라선다. 지분 양수도 거래는 10월 21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엔돌라이신 효소 기술을 보유한 리히텐슈타인의 라이산도(Lysando AG)와는 전략적 관계를 맺으며 …

116

“아미코젠, 엔도리신 등 미래 성과 기대… 단기 주가는 정체”

상상인증권은 26일 아미코젠에 대해 엔도리신 및 바이오소재 사업의 미래 성장 잠재력이 예상된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목할 것을 권고했다. 하태기 연구원은 “다만 최근 주가 상승으로 현재 주가는 낮다고 볼 수 없고, 단기적으로 주가는 정체될 것”이라며 “미래 성장 사업에서 2023년 이후부터 성과가 창출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아미코젠은 항생제 등 의약품 원료생산용 특수효소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1390억원과 540억원으로 추산했다. 전년 대비 각각 19.9%와 74.1% 늘어난㎢ 수치다. 중국 자회사에서 동물용 원료의약품(API)인 ‘툴라스로마이신’의 매출이 늘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내년 하반기에는 중국 법인의 증설된 API 공장을 가동하면서, 더 증가할…

115

아미코젠, 마이크로바이옴 1호 상장기업 '비피도' 인수

  아미코젠이 21일 마이크로바이옴 국내1호 상장기업인 비피도의 지분 245만4000주를 취득하며 실질적인 경영권을 인수한다고 밝혔다. 지분율 30%에 해당한다. 비피도는 1999년에 설립된 바이오기업으로 마이크로바이옴 기술 분야로는 국내 1호로 2018년 코스닥에 기술 특례 상장했다. 비피도는 국내 최초와 세계 6번째로 미국 FDA의 NDI(신규식품원료)와 GRAS(원료 안전성)를 획득해 안정성을 검증 받은 독자적인 특허 균주 BGN4, BORI, ADO11를 비롯해 약 80여개의 특허를 보유했고 250편의 논문을 발표한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과 치료에 대한 특허를 보유했고 알츠하이머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등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을…

114

아미코젠, 플라즈마 의료기기 벤처 ‘메디플’ 지분 취득

아미코젠은 20일 플라즈마 기술 기반의 바이오 벤처기업 ‘메디플’ 지분 11,811,024주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취득금액은 약 15억원이며, 지분율 33%에 해당한다. 메디플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업으로, 해당 기술 관련 특허 30여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2010년 포항공대 전자공학과 교수진에 의해 설립됐다. 플라즈마는 의료, 피부미용 및 농업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차세대 플랫폼 기술로, 최근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활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메디플은 의료용 기기 개발에 집중, 세계 최초 플라즈마 아토피 피부염 치료기기인 Medipl Derm 개발에 성공했으며, 2020년 서울아산병원 피부과와 함께 …

113

아미코젠, 라이산도 손잡고 ‘엔돌라이신’ 공략 본격화

효소 전문기업 아미코젠이 독일 바이오회사 라이산도와 손잡고 79조원 규모 엔돌라이신 시장 공략에 나선다. 엔돌라이신은 강력한 항생제에도 죽지 않는 슈퍼박테리아의 치료제 원료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아미코젠(092040)과 라이산도는 내달까지 지분 맞교환(스와프)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아미코젠이 라이산도 지분 8%를 280억원에, 라이산도가 아미코젠 지분 2.69%를 220억원에 각각 취득하는 거래다. 특히 아미코젠은 라이산도 이사회 1석을 지명할 권리도 가진다. [‘엔돌라이신’은] 글로벌 엔돌라이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결정이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항균제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가 문제로 떠올랐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항균제 내성에 의한 연간 사망자…

112

아미코젠·라이산도, 주식교환으로 바인딩 강화

효소 전문기업인 아미코젠이 독일 라이산도와 주식 맞교환을 단행했다. 지난해 차세대 항생제로 불리는 엔돌라이신 관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이후 전략적 파트너십 수준을 더욱 끌어올린 셈이다. 아미코젠은 엔돌라이신의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할 위탁생산(CMO)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아미코젠은 15일 라이산도의 주식 9만6831주를 280억원에 취득한다고 밝혔다. 취득 후 지분율은 8%이며 취득 예정일자는 오는 26일이다. 동시에 라이산도를 대상으로 223억원 규모의 3자 배정 유상증자도 결정했다. 보통주 53만2198주를 기준 주가보다 1.33% 할증된 4만1850원에 배정할 예정이다. 보호예수는 1년간 적용된다. 독일 리히텐슈타인에 본사를 둔 라이산도는 항균 단백질 개발 분야에서 위상이 높…

111

아미코젠, 자회사 '퓨리오젠' 설립…"레진 100% 국산화"

아미코젠은 레진 생산의 100% 국산화를 위해 자회사 ‘퓨리오젠’을 설립했다고 18일 밝혔다. 레진은 바이오 의약품 필수 재료다. 배양된 세포 중 의약품으로 쓸 수 있는 단백질과 항체를 거르는 정제 작업에 쓰인다. 아미코젠(092040)에 따르면 레진 합성 기술에 대한 경험과 공정 개발 및 생산공장 셋업에 풍부한 노하우를 지닌 전문인력 6명을 영입해 자회사 퓨리오젠을 설립했다. 기술 도입에서 제품 생산까지의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다. 아미코젠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현재 도입중인 레진 생산기술을 기반으로 공정 개발을 완료할 것”이라며 “현재 생산공장 부지 선정을 진행 중”이라고 했다. 아미코젠은 단백질 정제기술을 차세대 바이오 핵심기술로 선정해 2017년 스웨덴 레진 전문 …

110

아미코젠, 바이오 소부장 정책지원…배지·레진 생산주목

 아미코젠이 정부의 바이오 소부장 기술개발 지원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일 '바이오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점검회의를 열어 백신 원부자재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 소부장 기술개발에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박재영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우리나라가 백신 생산의 글로벌 중심이 되기 위해 차세대 백신 원부자재를 포함한 바이오 소부장으로의 지원을 강화하도록 하겠다"고 밝히며 이를 위해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기업간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감염병 대응에 필수적인 mRNA 백신 생산에 필요한 핵심소재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기술개발을 지원하기로 한 것이 주된 내용이다. 바이오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는 국내…

1 2 3 4 5 6 7 8 9 10